본문 바로가기
생활

[세계]팔레스타인 vs 이스라엘 전쟁(현상황, 안식일, 전쟁이유)

by 두부 한판
반응형

목차

1. 팔레스타인vs이스라엘 전쟁

2. 안식일의 의미

3. 왜 싸우나?

 

이스라엘

 

1. 팔레스타인 vs 이스라엘 전쟁

이스라엘

팔레스타인이 유대교 안식일 10월 7일 새벽 6시 30분경 이스라엘에 로켓포를 동원한 공격을 시작했다.

낙하산 침투, 로켓포 포격으로 선제공격을 감행한 팔레스타인은 이스라엘에 침투하여 군인, 민간인등을 인질로 납치했다.

현재 이스라엘 남부와 중부지방 곳곳에 팔레스타인과의 총격전이 벌어지고 있어, 이스라엘 총리는 현재 상황을 전쟁상황으로 판단하고, 팔레스타인 무장세력을 파괴시키겠다고 선언했습니다.

이번 일어난 무력충돌은 2021년 5월 일어난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하마스) '11일 전쟁' ( 성지 알아크사 사원을 둘러싼 갈등)  이후 최대 규모가 될 것으로 보인다고 합니다.

 

- 피해상황

  현재 정확한 숫자는 파악이 진행 중이나, 최소 600명 이상의 사망자 및 4000명 이상이 발생된 것으로 예상됩니다.

  팔레스타인은 이스라엘 남부 지역의 군인, 민간인, 노약자등을 납치하여 인질로 데려가고 있어, 대규모 피해가 지속 적으로  발생되고 있습니다.

 

 

2. 안식일의 의미

안식일은 유대인들이 일상생활의 규칙적인 노동에서 벗어나 자유를 행사하는 축제의 날이다. 유대인들은 안식일을 통해 하느님이 천지 창조를 할 때  일곱 번째 날을 쉬셨다는 것에서 유래가 된 날로 이날은 모든 유대인이 노동을 하지 안ㄱ 쉬는 날이다. 유대인은 안식일을 목숨보다 소중하게 생각하였으며, 음식을 만들거나, 경제활동 등을 하면 안 되는 날이다.

기원전 165년경에는 안식일에 외국군대가 쳐들어 와도, 안식일이란 이유로 아무런 저항도 하지 않아 죽은 사람이 1,100명이 넘기도 했다는 기록이 있다.

 

 

3. 왜 싸우나?

<간단 요약>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 구역인 서안지구(West Bank)와 남서단 지중해 연안에 위치한 가자지구(Gaza Strip)를 가리킨다. 유대인들이 시오니즘 운동에 따라 이 지역으로 이주해 1948년 이스라엘을 건국하고 2000년간 살고 있던 팔레스타인 사람들을 내쫓으면서, 양측의 유혈 충돌이 끊이지 않고 있다.

< 내용>

제2차 세계 대전과 6백만 명의 유대인들이 살해된 홀로코스트 이후, 유엔은 팔레스타인 지역을 아랍인 구역과 유대인 구역으로 분할시키기로 하였다. 오랫동안 그곳에 살고 있고 이웃 국가에 살고 있는 아랍인들은 그것이 불공평하다고 느꼈고 새로운 나라를 받아들이지 않았으나,  유대인들은 수락하였고 그 결과 유대인들은 1948년 5월 14일 이스라엘 국가를 수립하였다. 이스라엘 건국 직후 이집트를 비롯한 7개 아랍국가들이 무력적 항쟁을 벌이면서 제1차 중동전쟁이 발발하였으며, 결과적으로 결과적으로 이스라엘은 팔레스타인 지역의 80%를 차지하고, 팔레스타인은 유랑민이 됨.

이후, 팔레스타인 독립국가의 건설을 목표로 1964년 '팔레스타인해방기구(PLO)'가 결성되었고, 이스라엘과 충돌할 때마다 유혈 분쟁으로 치달음.


이후 이스라엘은  2005년에 팔레스타인  가자지구를 떠났지만

곧이어 하마스라는 단체가 선거에서 승리하여 팔레스타인 지배권을 장악했습니다..

세계의 많은 사람들은 하마스를 테러 조직이라고 부르는데

이는 이스라엘을 한 국가로 인정하기를 거부하고, 팔레스타인이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폭력을 사용했기 때문입니다.

 

그 이후로 이스라엘은 서안지구와 가자지구를 봉쇄하였고 현재까지 서로 싸우는 중입니다.

 

1. 지리적 요인:
팔레스타인과 이스라엘은 중동 지역에 위치하고 있어, 그 주변에는 중요한 경제 및 전략적 자원들이 집중되어 있습니다. 두 지역은 작은 영토에 인구 밀도가 높아 자원 확보와 경계 문제가 발생하기 쉽다.



2. 역사적 요인:
팔레스타인-이스라엘 분쟁의 역사는 오랜 기간 동안 거슬러 올라갑니다. 20세기 초반부터 유대인들이 팔레스타인으로 이주하기 시작했으며, 1947년 유엔 결의를 통해 팔레스타인과 이스라엘이 각각 독립국가로 세워짐으로써 분쟁의 시작점을 찾을 수 있습니다.

3. 정치적 요인:
분쟁의 원인 중 가장 큰 것은 정치적으로 국가와 영토문제입니다. 각 국 모두 자신들이 팔레스타인과 이스라엘 전체를 주권으로 가지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어, 상호 간에 인정 문제와 국경선 형성 등을 놓고 충돌하고 있습니다..

4. 종교적 요인:
팔레스타인-이스라엘 분쟁은 유대교와 이슬람교 사이에서 종교적 갈등의 측면도 있다. 오랫동안 성지 예루살렘이 유대교, 기독교 및 이슬람교 신자들에게 신성시되는 곳으로 알려져 왔기 때문에 성지 접근권 문제로 갈등이 발생합니다.

5. 대외 관여:
대부분 그랬듯이, 국제 사회에서도 팔레스타인-이스라엘 분쟁에 큰 관심을 가지고 개입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대외 정치 및 경제력을 통해 한쪽을 지원하거나 조정하는 시도를 하면서 상황을 더욱 복잡하게 만들고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