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전쟁으로 대략 200명(추정) 정도의 인질이 팔레스타인 하마스 조직에 납치되었습니다. 양측 사상자는 10,000명에 달한다고 하네요. 이스라엘 정부에서 하마스를 괴멸시키고자 하는데 하마스 조직은 지하터널을 통해 이동해서 공격하기가 어렵다고 합니다. 이번에는 하마스의 지하터널 위치, 종류, 길이등에 대해 공유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하마스의 지하터널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지구 사이를 근거지로 삼고 있는 하마스는, 가지지구의 광범위한 지역에 지하 터널을 사용하는 것으로 익히 알려져 있습니다. 이 터널은 '가자 메트로'로 불린다고 하며, 이 지하터널을 뚫은 목적은 대부분 적으로부터 방어하기 위함이라고 하나, 처음에는 해외 밀수(식량과 무기)를 위함이었고, 지금은 주로 무기 및 군사장비를 이동하여 공격 및 군사작전을 하기 위함입니다.. 팔레스타인에 이스라엘이 세워둔 8m 높이의 장벽을 뚫을 수 있는 방법으로 최선의 전략이지 않을까 합니다.(이스라엘이 8m 장벽을 세운 이후 터널의 숫자가 수백 개 이상 더 늘어났다고 합니다.)
터널 숫자
현재 1,300개 이상의 터널을 보유하고 있고, 하마스의 부지도자였던 이스마일 하니야는 하마스의 터널 숫자가 베트남전쟁 때 사용된 터널의 2배가 될 거라고 했습니다.( 1955년 ~ 1975년 베트남 전쟁 시 공산당이 미국을 상대로 버틸 수 있었던 것도 공산당의 지하터널 때문이라고도 합니다.)
2. 지하터널 길이, 형태, 위치
지하터널은 시간이 지날수록 계속 길어지고 있으며, 2021년 기준으로 대략 길이 480km이고, 지하 30m 깊이에 만들었다고 알려지고 있습니다.
<지하터널 480km 길이 비교>
1) 서울에서 부산까지의 거리가 경부고속도를 이용 시 400km 정도 된다고 하니, 엄청나게 긴 터널이 꼬불꼬불하게 땅속으로 이어져 있는 겁니다.
2) 가자지구는 길이 41km, 폭 10km입니다. 여기 땅아래 480km 길이의 터널이니 엄청 복잡하겠네요
3) 서울 지하철은 총연장 350km로 서울의 약 1.4배 정도의 길이입니다.
터널은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더 기술적으로 발전해졌다고 하네요. 콘크리트 벽을 세우고, 기본적인 전기, 통신도 가능하고, 음식물을 섭취할 수 있는 별도의 장소도 있다고 합니다.
터널 출입구로는 기본적으로 땅에 만들었다고 하지만 이스라엘군에게 발각되지 않기 위해, 일부 출입구는 예배당, 학교 건물 맨 아래층에 위장을 하여 설치를 하였습니다.
3. 지하터널 방어 가능한가?
지하터널을 막을 방법은 몇 가지 있으나, 지하터널의 정확한 정보가 없는 상황에서 계획된 방어전략이 얼마나 효과가 있을지 미지수입니다. 넓은 땅에서 터널을 찾기도 쉽지 않겠네요
1) 인텔리전스 및 감시
인텔리전스 작전(Intelligence Operation)이란? 정보수집, 분석 및 평가를 통해 안보와 관련된 정보를 확보하는 작전입니다. 지상 및 지하에서 하마스의 움직임을 감시하고 정보를 수집하는 활동을 말할 수 있겠죠.
2) 터널감지기술: 진동, 열감지, 음파를 이용한 터널 감지후 터널 파괴등이 있습니다.
위의 방어전략으로 터널을 찾아낸다 해도, 항공기 폭격이나, 이스라엘 방위군을 투입해야 되는데, 항공기 폭격은 민간인 및 인질에 대해 피해가 있어 쉽지 않고, 터널에 방위군 투입은 내부가 좁아서 효율적인 전투가 어렵다는 의견이 많습니다.
이상으로 하마스의 지하터널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물생활 후기 및 3만원 팔루다리움 세팅 (0) | 2023.10.21 |
---|---|
10월 고금리 파킹통장 은행 및 금리조회 (0) | 2023.10.20 |
임금 체불 근로자 지원정책, 신청서 첨부(생계비 융자정책) (0) | 2023.10.16 |
(낚시초보) 오이도 배낚시 이용 및 주차 정보 (1) | 2023.10.16 |
순간접착제가 안경렌즈에 묻었을때 제거하는 방법!(내돈내산) (0) | 2023.10.14 |